<p></p><br /><br />관련된 이야기 보도본부 하태원 부장과 함께 짚어 봅니다. <br><br>하 부장, 오늘의 분석 키워드 부터 소개해 주시죠? <br> <br>미국 중간선거 결과는 우리에게도 중요합니다. ‘민주당 변수’를 키워드로 하나하나 따져보겠습니다. <br><br>[질문1] 중간선거가 윤곽을 드러내는 시점에 회담 연기소식이 전해졌습니다. 선거결과가 앞으로의 북미 협상 패턴에 영향을 미칠까요? <br><br>제가 제일 좋아하는 정치학의 금언이 "모든 대외관계는 국내정치의 종속변수"라는 말입니다. 트럼프의 북한과의 협상방식도 이전과 달라질 수밖에 없게 됐습니다. 김정은-트럼프의 트레이드 마크인 친서외교도 변화가 예상됩니다. <br><br>북-미협상이 고비를 맞을 때 마다 물고를 튼 계기는 두 사람간 친서였는데. 김정은은 올해 다섯번 친서를 보냈죠. <br>트럼프 환심만 사면 만사형통이라는 방식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[질문2] 하지만 고집이 센 트럼프가 북핵협상 만큼은 여전히 독단적으로 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는 것 같은데요. <br><br>우리가 이겼다는 게 트럼트 대통령의 첫 대외 메시지였지만 현실은 사뭇 다릅니다. 특히 하원은 예산통제권과 청문회 개최권한이 있습니다. <br><br>승자독식으로 모든 상임위 위원장이 다 민주당 의원으로 바뀌게 되는데, 관련 상임위원회를 통한 강력한 견제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. 민주당은 비핵화의 진전없이 이뤄진 북-미정상회담에 대해 대단히 비판적입니다. <br><br>[질문3] 때론 과장하고 허풍을 떨기도 했던 트럼프식 대북정책에 제동을 걸 수 있다는 뜻인가요? <br><br>폼페이오를 부르고 비건을 불러 깐깐히 따져 물을 것 같습니다. 동창리 미사일실험장 폐쇄약속은 왜 안지키는지, 핵신고서는 왜 제출하지 않는지 등이죠. <br><br>주한미군 철수같이 한미동맹에 영향을 미칠 중대한 사안도 의회의 관리하에 추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><br>[질문4] 고위급 회담 전격연기 이유가 제일 궁금한데. 취재가 됐나요?<br> <br>사전통보를 받았다고 하지만 정부는 함구하고 있습니다. 미국 국무부는 내일이나 돼야 상세한 설명을 내놓을 예정입니다. <br><br>단순 일정상 차이라기 보다는 양측이 회담의제에서 접점을 찾지 못한 탓인 것 같습니다. 미국입장에서는 핵신고서도 안 내놓으면서 제재해제를 요구하는 북한이 못마당하죠. <br><br>북한 입장에서는 선거뒤끝에 어수선한 상황에 미국에 가도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없다고 본 것 같습니다. 2차 북-미정상회담의 모멘텀도 사라지는 분위기 입니다. <br><br>[질문5] 이번 선거에서 오랜 만에 한인 연방하원의원이 탄생하게 됐다죠? <br><br>캘리포니아 주 하원의원 선거에서 승리를 눈앞에 두고 있는데 공화당으로 출마한 영 김 후봅니다. 1998년 김창준 의원 이후 20년 만에 한인 의원이 탄생한 겁니다. <br><br>대북 강경파로 알려진 에드 로이스 의원의 보좌관 출신이죠. 북한 인권문제나 민주화 부분에 대해 목소리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보도본부 하태원 부장이었습니다. <br>